잎반점병 : 아접, 접목, 삭아접에 의해 전염되며 즙액전염에 의해 명아주 등 초본식물에 순화된 바이러스로 사과 어린 유묘에 즙액전염이 가능하다.
고접병 : 병은 접수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나무로부터 와서 감수성 대목에서 자란 나무에 고접될 때만 전파된다. 사과 잠재 바이러스에 대해 검증되지 않은 나무로부터 접수의 무작위 선택은 병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모자이크병 : 즙액 전염성으로 대부분의 자연 전파는 뿌리 접목에 기인한다. 봄이나 초여름에 발생하는 잎에는 병징이 나타나나 여름에 발생하는 잎에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병성인 품종에서는 병징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도 성장피해, 수량감소를 가져온다. 병징은 나무전체에 균일하지 않으며 가지에 따라 병징이 나타난다.
< 방제 >
감염된 나무의 제거와 검증된 바이러스 무독 대목의 사용이 가장 효과적이며 기본적인 방제 방법이다.